정보/기타정보

여러가지 생소한 언어들에 대해서 알아보자

glofpd 2023. 5. 9. 19:23
반응형

1.바스크어

 

카이코!(안녕)

 

바스크어는 프랑스와 스페인사이의 지역에서 쓰는 언어야

 

원래 스페인으로부터 독립해서 살려고했는데 현재는 스페인에 얌전히있다

 

기본적으로 세계에서 쓰는 언어들의 종류는 고립어(영어[굴절어도됨],중국어) 굴절어(불어,독일어,스페인어등) 교착어(한국어,일본어,터키어) 포합어로 나뉘는데

바스크어가 포합어중 하나야 일단 언어자체굴래가 전혀다르기 때문에 생소해

 

바스크어를 쓰는 사람들은 불과 50만명밖에 되지않고 오직 바스크민족만 쓰는 언어야 잠깐 딴 이야기를 하자면

 

스페인 아슬레틱은 바스크민족의 선수들로만 구성되어있고 바스크민족의 선수만 쓴다고 함

 

지리적으로만 봐도 스페인어와 불어와 비슷하다고 볼수있어

 

일단 난이도는 언어들중에서도 거의 최상급이라고 봐야해

 

그리고 이 바스크어는 친족언어를 도무지 찾을수없는 미스테리한 언어야

 

인도유럽어도 아닌 정체성을 찾을수없는 그야말로 생소한 언어 그자체야

 

 

 

2.갈라시아어

갈라시아어 역시 이베리아반도 언어인데 얘네들 언어 역시 로마자를 쓴다는거고 포르투갈어와 유사하다는점이 있어

보면 알겠지만 지리적으로 가깝기때문에 갈라시아어는 포르투갈어와 상당히 비슷해

 

언어들은 보면 알겠지만 지리적으로 비슷한 언어들이 많다 한국어 역시 중국어와 일본어와 닮은것처럼(전라어포함)

 

갈리시아어는 서부로망스어군에 포함되 이 언어 역시 상당히 배우기 힘들지만 포르투갈어가 전제되어있다면 쉽다

 

3.게일어

 

게일어는 아일랜드의 언어야 그럼여기서 아일랜드는 영국이니까 영어쓰지않나? 라고 물을텐데

 

아일랜드 사람들은 영어도 할줄알지만 제 1언어로 게일어를 배우게되

 

근데 아일랜드사람들중에서는 게일어쓰는 사람들이 거의없다

보통 아일랜드인들은 취직이후 게일어를 잊어버리게 되어서 일타흐트라는 지방에서만 쓰이게되

 

영어랑 비슷하다고 만만하게 볼수있는데 이 언어역시 배우는데에 많은시간을 투자하지않는 이상 힘들어

 

그런데 상당히 메리트가 있는 언어라고 생각해 특유의 악센트와 발음들이..

 

 

4.산스크리트어

다음은 인도의 고대언어라고 할수있는 산스크리트어야

 

힌디어의 알파벳과 거의 흡사하고 문법의 복잡성은 라틴어와 맞먹을정도야

 

희랍어(그리스어)와도 상당히 비슷해서 비교언어 대상이되는 언어야.

요즘엔 학문적으로만 배워서 거의 이름조차 들을수없는 언어긴한데 몇몇 외국어쫌 배웠다는 사람들은 알만한 언어야

 

한자로는 범어(梵語)라고도 하는데 아직도 일부지방에서는 쓰인다고 한다 ....

 

역사적으로 더 자세하게 보자면 베다 산스크리트어의 발전형 언어라고 봐야해 그런즉슨 베다 산스크리트어는 현재 사어인 셈이지

 

더 자세하게 파헤치면 머리아프므로 산스크리트어는 넘어가도록 하자

 

5.파슈토어

파슈토어 는 어느나라 언어일까?

 

파슈토어는 아프가니스탄 테러국의 언어로서 아랍문자를 쓴다고 해

 

아프가니스탄은 파슈토어이외 다리어(이라크어)를 쓰기도 하지

 

문법은 아랍어에 비해 쉬운편이고 파슈토어를 쓰는 민족을 파슈툰족이라고 해

 

보통 아랍어는 글자를 이어서 쓰는데 얘네들은 아래와 같이 붙여쓰기도 한다 아랍문자의 필기체는 엄청나게 많다..

 

6.그린란드어

그린란드어는 칼라히수트 이누이트알류트어족에 속하는 정말로 생소한 언어중 하나야

 

사용자수는 5만7천명밖에 되지않지않아 .. 그린란드어의 특징중 하나는 미친듯한 난이도야

 

바스크어와 더불어 세계최고 난이도중 하나에 꼽을수있는 언어라고 할수있어

 

대충들리는 어감은 독일어와 닮았다고 해

 

7.고대이집트어

 

고대이집트어는 상형문자를 사용하는 언어야

 

영화에서 암호해독하는것처럼 많이 봤을텐데 생각보다 그렇게 어렵지는 않아

상형문자의 경우 문자의 방향에따라 읽는 방향이달라져

 

유럽어의 공통점이 명사의 남,여가 나뉜다는건데 고대이집트어 역시 성별이 나뉘어

 

명사의 복,단수 개념도 상당히 쉽고 배워볼만한데 역시 생소하기 때문에 배울교재도 자료도 턱없이 부족한 언어야

 

 

8.페르시아어

페르시아어의 경우 고대페르시아어 현대페르시아어로 나뉘는데

 

일단 페르시아어는 파르시어 이란어 페르시아어 세개 다 불린다는거 알아두자

 

고대페르시아어는 쐐기문자를 사용했어 (설형문자라고도 한다)

 

고대페르시아어를 보자면

이런식으로 기록했어 쐐기문자이기 때문에 상당히 가독성도 떨어질뿐더러 배우기 힘들어

이건 고대페르시아어의 알파벳이야 전부다 비슷비슷하게 생김

 

현대페르시아어는 아랍문자를 채택하게된다 하지만 아랍문자에서 3개를 추가적으로 더 만들어 사용하게되

 

그리고 타지키스탄이나 우즈베키스탄에서 쓰는 페르시아어는 키릴문자로 표기한다고 해

 

난이도는 아랍어에 비해서 정말로 쉬운편이고 일게이들도 조금만 공부하면 간단한 회화가 가능하다

 

일단은 어순이 한국어와 거의 비슷해 일본어,터키어,몽골어 처럼

 

 

9.벨라루스어

벨라루스어는 벨라루스 이외에 러시아에서도 쓰이는 언어야 슬라브 민족답게 미녀들이 많다고도 하던데

국제결혼도 많이하는 나라다

 

일단 기본적인 회화를 알아보자면

인사 등 상용어[편집] (위키펌)

  • дзень добры (dzen' dobry) - 안녕하세요?
  • як (jak) - 어떻게
  • як маесься? (jak majessija?) - 잘 지냈습니까?/어떻게 지내셨습니까?
  • добрай раніцы (dobraj ranicy) - 아침인사
  • дабранач (dabranach) - 안녕히 주무세요.
  • дзякуй (dzjakuj) - 고마워요.
  • калі ласка (kali laska) - ~해 주세요
  • спадар / спадарыня (spadar / spadarynja) - ~씨(남성/여성)
  • добра (dobra) - 좋다
  • кепска / дрэнна (kjepska / drenna) - 나쁘다
  • выдатна (vydatna) - 멋지다, 훌륭하다
  • цудоўна (cudowna) - 멋지다, 훌륭하다
  • дзе (dzje) - 어디?
  • адкуль (adkul') - 어디에서?
  • чаму (chamu) - 왜?
  • я разумею (ja razumjeju) - 전 이해합니다.
  • нічога не разумею (nichoha nie razumjeju) - 전 아무것도 이해하지 못합니다.

 

벨라루스어는 근처인접한 나라들을 보면 알듯이 우크라이나어 러시아어 폴란드어와 상당히 비슷하다.

 

러시아에서는 이 언어를 없애고 러시아어를 보급하려 했지만 실패하고 여전히 벨라루스는 벨라루스어를 쓰게되었어

 

 

 

 

 

 

 

 

 

 

 

 

 

출처https://www.ilbe.com/view/73637899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