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공룡의 멸망에 관한 여러가지 가설

 

순서는

 

운석충돌설

화산활동설

네메시스설

행성X설

혜성설

무분별한 알의 증가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반응형

운석충돌설

1980년 미국의 캘리포니아 대학 앨바레즈(L.W Alvarez;1911∼1988, 1968년에 노벨 물리학상 수상) 부자가 이탈리아,

덴마크, 뉴질랜드 등의 K/T(백악기(Kreide)와 제3기(Tertiary)) 경계층에,

상하층의 100배나 되는 이리듐(Ir)이 함유되어 있다는 논문을 발표했어

 

일반적으로 이리듐은 지각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는데 왜냐하면 이리듐은 백금족에 해당하는 무거운 원소이기 때문에

지구가 형성되는 초기에 이미 중력에 의해 지구 내부로 가라앉아 버렸기 때문이래

 

하지만 지구의 내부에만 존재하는 이리듐 원소가 운석에는 많이 포함되어있다고하고

 

그렇기 때문에 K/T 경계층에서 집중적으로 이리듐이 발견된다는 것은 외계의 운석을 통해서 왔다고 밖에는 생각할 수 없어.

즉, 거대한 운석이 지구에 충돌한 것이다라는거지

 

 

운석 충돌설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는 '과연 어디에 운석이 충돌했는가?'였어

 

만약 직경 10㎞의 운석이 지구에 떨어졌다면 운석 구덩이 또한 클 것이기 때문에 그것이 바다 속에 떨어지지 않았다면 반드시 발견되어야 했기 때문이야

이 운석 구덩이를 찾으려는 노력은 계속 이어졌고, 그러다 멕시코의 유카탄 반도의 북서쪽 끝에서 칙술룹(Chicxulub) 운석 구덩이를 발견했지

 

 

칙술룹 운석 구덩이는 직경이 180㎞로, 형성 시기도 약 6500만 년 전인 것으로 여겨져 K/T 경계층에 떨어진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그 규모로 봤을 때 전 지구적인 영향을 끼치기에 충분했을 것으로 판단된다고함

 

<대형 운석 충돌 분포표> 현재 지구상에는 200개 이상의 운석 충돌 구덩이가 확인되고있다

 

 

가설의 문제점이 발견됬는데

 

운석충돌설은 현재 학계의 정설이며, 운석이 떨어졌다는 것 그 자체에는 반문의 여지가 없는 것 같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풀리지 않는 문제는 공룡을 비롯한 해양 파충류와 익룡이 멸종한 후에도 그와 유사한 파충류인 악어,

거북, 뱀 등은 멸종되지 않았다는 점이지

 

게다가 환경의 변화에 민감한 육방 산호류가 살아남았다는 것도 의문으로 남고

뿐만 아니라 동물들이 멸종된 시점 역시 불투명하다. 캐나다 앨버타의 레드디어(Red Deer) 강 일대를 조사한 필립 커리 박사에 따르면,

이곳의 공룡 종 수가 상부층으로 갈수록 현저하게 줄어든다고 한다.

 

또한 실제로 이리듐이 발견되기 직전의 층에서는 몇몇을 제외하곤 거의 공룡 화석이 발견되지 않는다고 하는데

그것은 이미 백악기 말기에는 공룡들이 쇠퇴의 길로 접어들었다고 할 수 있음

 

게다가 암모나이트류도 백악기 후기를 통해서 서서히 쇠퇴하고 있었고, 이매패류인 이노세라무스(Inoceramus)류도 백악기 말 조금 전에 멸종했다.

그런 점에서 공룡들의 멸종 시점과 운석 충돌 시점의 관계가 명확하지 않다.

 

운석 충돌이 공룡들의 멸종에 직접적인 영향을 가했는지, 아니면 그 전부터 이미 공룡들의 쇠퇴가 진행되고 있었는지 확실하지 않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운석은 충돌하였고, 그것이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공룡들의 멸종에 관여를 했다는 점이다.

 

 

화산활동설

 

1980년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의 알바레즈에 의해 K/T(백악기/신생대)

 

경계면에서 상하층의 100배나 되는 이리듐이 함유되어 있다는 논문이 발표된 후,

공룡의 절멸에 관한 이론으로 '운석 충돌설'에 무게 중심이 실렸다.

 

하지만 그와는 달리 그 이리듐이 외계에서 오지 않고 격심한 화산활동에 의해 지구 심부에서 분출되어 형성된 것이라고 하는 설이 '화산 활동설'이다.

실제로 백악기 말기는 지구 내부의 변동이 잦았던 시기로, 극심한 화산 활동의 흔적이 발견되고 있고

 

대표적인 곳이 인도 대륙에 있는 데칸트랩(Deccan Trap)이라 부르는 거대한 용암 대지이다.

과거에 인도가 세이셀(Seychelles)로부터 분리되면서 막대한 양의 용암이 흘러나와 인도 서부 지역을 덮어버렸어

 

이 화산 활동은 공교롭게도 공룡이 절멸한 백악기 말에 시작하여 신생대 초까지 거의 백만 년 동안이나 지속되었다고함

 

이또한 가설의 문제 점이 발견되었는데

모든 운석에 다량으로 함유되어있는 이리듐이 화산활동에서 흔하게 나타나는 것은 아니야

 

미국 하와이주의 킬라우에아(Kilauea) 화산의 가스에서만 다량 발견될 뿐, 다른 경우에는 이리듐이 산출되지 않는다고해

 

게다가 충격에 의해 물방울들이 용융되어 생성되는 유리질의 텍타이트(tektite)라든지,

순간적인 고압에서만 형성되는 충격 석영 결정(shocked quartz crystals)이 발견되는 점을 설명할 수가 없고

 

또한 세계 도처의 화재로 발생하는 그을음의 존재도 지역적 화재만 일으키는 화산 활동으로는 설명하기가 곤란하다고함

 

 

네메시스설

 

전지구적인 집단 멸종이 2600만 년을 주기로 일어난다는 사실에 기인하여 탄생한 학설이다.

 

여기에는 태양의 가상 쌍성인 네메시스(Nemesis)가 등장하는데,

 

쌍성이란 두 개 이상의 별들이 서로의 인력 때문에 공동의 무게중심을 일정한 주기로 공전하고 있는 항성이다

 

즉, 태양의 가상 쌍성인 네메시스가 지구에 주기적인 '혜성 소나기'를 내리게 해서 집단 멸종을 초래한다고 하는 설이 네메시스설이다.

 

네메시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율법의 여신이다

 

 

가설의 문제점으로

 

네메시스는 미지의 항성으로 그 존재가 확인되지 않았어

 

또한 네메시스가 존재한다 하더라도 태양과의 거리가 3광년이나 떨어져 있기 때문에 두 별을 쌍성으로 유지할 수 있을 만큼의

 

인력이 충분하지 못해 태양과 네메시스가 쌍성으로 되기가 어렵다고 하는데

 

그뿐만 아니라 공전주기가 2600만년이나 되는 쌍성도 아직 관측된 바 없음

 

게다가 오르트 구름 역시 마찬가지야

 

오르트 구름은 1950년 네덜란드의 얀 오르트(Jan Oort)가

 

태양으로부터 30,000 ~ 100,000AU 사이에 구형의 혜성운 (comet clouds)이 있을 것으로 가정한 것인데,

 

아직까지 직접적인 관측 증거는 없어(갸소리라는뜻)

 

●행성X설

 

행성X(Planet X)설은 네메시스설을 보완한 설이야

 

행성 X는 태양계 가장 바깥에 존재할 것으로 생각되는 가상의 행성이라고 함

 

가설에 대한 문제로

 

행성X는 메메시스와 달리 큰 질량을 갖기 때문에 관측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지만,

 

아직까지 그 존재가 확인되지 않았다

(과학자들 상상력 ㄷㄷ)

 

 

●혜성설

 

공룡의 멸종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일어났던 멸종을 살펴보면 2천 600만 년마다 멸종 주기를 갖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함

 

따라서 멸종의 원인을 운석에 의해서가 아니라 주기적으로 찾아오는 혜성에 의해서 일어났다고 보는 견해가 있는데,

 

그것이 바로 혜성설이다라고 주장

 

 

 

이혜성설또한 말이안된다는 가설이라고 하는데

 

혜성은 이리듐(Ir)을 함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K/T 경계면에서 풍부하게 관찰되는 이리듐의 농집 현상에 대해서 설명할 수 없다라고 함

 

 

 

●무분별한 알의 증가

 

힙셀로사우루스(Hypselosaurus)는 7300만 년 전부터 공룡이 절멸하게 되는 6500만 년 전까지 살았던 용각류 공룡이야

이 공룡은 최초로 알 화석이 발견된 것으로도 유명하다고함

 

그리고 힙셀로사우루스는 특별히 둥지를 만들지 않고 바로 알을 낳는데, 산란 형태가 아주 불규칙해

 

군데군데 흩어 낳기도 하고 한 곳에 모아서 낳기도 한다. 알은 한번에 7~8개를 낳지만, 그 크기는 30㎝에 이를 정도로 커

그런데 백악기의 끝으로 갈수록 힙셀로사우루스의 알 껍데기 두께에 비정상적인 변화가 잦아졌다.

 

알 껍데기의 두께가 고르지 못하고 이상하게 두껍거나 얇은 것이 많아지기 시작했지

 

흔히 많은 알을 낳는 경우, 뼈의 칼슘 성분이 줄어들어 뼈가 약해지는 현상이 생기는데,

어쩌면 큰 알을 낳는 힙셀로사우루스에게서도 이 같은 현상이 일어났을지도 모른다.

 

그것은 또한 알에도 영향을 미쳤으리라 생각된다고함

 

 

문제점으로 말이많았던 설인데

 

이 현상이 전 종에 걸쳐 진행되었는지는 알기 어려우며, 설사 진행되었다 하더라도 소수의 종에 한정되었을 것으로 보인다고한다.

 

따라서 소수 종의 퇴화는 가져올 수 있지만, 이것으로 인해서 공룡 전체가 절멸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라고함

 

 

 

 

 

 

 

https://www.ilbe.com/view/10722326893

 

 

 

 

 

 

 

 

 

 

 

 

 

 

 

 

반응형

'정보 > 기타정보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상아리vs범고래  (0) 2023.04.07
외계전파수신호  (0) 2023.04.07
아침루틴 짜기  (0) 2023.04.07
주의집중력을 올리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1) 2023.04.06
최고급 원단 종류  (0) 2023.04.06
댓글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