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콜로살 오징어(Colossal squid)



콜로살 오징어는 두뇌가 식도 바로 옆에 있기 때문에 먹이를 섭취하다가는
압박 때문에 자칫 두뇌가 손상될 위험이 있는 애매한 신체 구조를 지녔다한다
먹다가 죽을수도 있다
하지만 보존이 잘된 것을 발견하기 힘든 심해어기 때문에 연구 가치가 높다고 한다

블랙 스왈로우 (Black Swalloer fish) 라고 하는 물고기
1500~3000m 에 살고있는 심해어
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얘는 지몸보다 위장을 3배더 크게 만들수 있어서 자기보다 몇배나 큰 생물을 잡아먹는 물고기다

원래 심해어는 잡기도 힘들고 그래서 연구하기가 어렵고 가치가 높은데
이 블랙 스왈로워는 소화를 못시켜서 위에 가스가 차서 둥둥 올라오거나 배터져 죽는게 많아 과학자들이 많이 발견하고 표본도 많이 있다고 한다
거꾸로 메기 (Upside-down Catfish)
이물고기는 거꾸로 다니는 것으로 진화했다.
어핏봐선 죽은것으로 착각 할 수도 있다
몇몇 과학자들이 수상 표면에서 더 쉽게 호흡하기 위해서라는 주장이나
물속에 가라않은 나무 밑에 달라붙어 거기 붙어있는 이끼같은 먹이를 뜯어먹기 위해서라는 주장이 있는데
아직까지 확인된 근거는 없음
나무늘보(Sloth)
나무늘보찡은 보통 중앙아메리카에서 파라나강사이의 열대우림에 산다.'
귀차니즘이 심해서 대소변도 몇일씩 참음
그러나 먹이는 잡식성이라 다 잘먹는다고 함
아르고너트 (Argonaut)
아르고너트는 Argonautidae 과에 속해있는 13종을 그냥 통틀어서 부르는 이다
우리는 대강 배낙지 정도로 부르는 모양이고 전세계에 걸쳐 따뜻한 바다에 많이 분포하고 있다
아르고너트 껍데기는 의외로 견고해 3층의 방해석으로 이루어져 있고
껍데기 크기는 5cm에서 30cm크기도 있을정도로 작다고 볼수없다
소라게처럼 버려진 껍데기를 주워서 그안에 있는게 아니라 아르고너트 스스로 껍데기를 만들어
여러 학자들이 연구한 결과 아르고너트 껍데기의 기원은 암모나이트 라고 주장하는 학자들이 많다
위에 사진은 전부 아르고너트 암컷
이게 아르고너트 수컷.
암컷에 비해 너무작아서 19세기 이후에 들어서야 존재가 확인됬다
그 이유가 이놈은 껍질을 만들 능력도 없어서 암컷 아르고너트 껍질 안에서 산다
의외로 불쌍한 녀석이다
왼쪽- 암컷 오른쪽- 수컷
짝지기를 할때에 암컷 아르고너트가 수컷 아르고너트를 만나서
수컷이 암컷 껍질속에 들어가서 짝지기를 하게된다 짝지기 방법은
문어목 생물들이 가지고 있는 생식기 역할을 하는 다리인 생식완을
수컷이 떼서 암컷에게 주는것이다 그렇게 해서 안에서 알을 낳게 되는 방법으로 번식을 하는데
쉽게말해서 지 고추 떼서주는거.
마지막으로 멍게(Sea squirt)
멍게에 대해 많이 모르는데, 사실 이 멍게는 동물이다.
멍게는 척색동물 에 속에있으며 미더덕도 마찬가지로 동물이다
사실 멍게가 고등동물임
이 사진은 멍게의 어릴적 사진. 눈,뇌,척색,근육등 고등신경기관 다잇다
올챙이처럼 헤엄도 친다
하지만 멍게가 다자라서 성체가 될쯤엔 ..우리로치면 2차성징이다
변하기 시작한다
이과정에서 스스로 뇌랑 신경기관 척색 모두 먹어치우고
오로지 소화계 순환계만 남겨놓고 싹다 없애버린다.
한순간에 하등동물로 둔갑한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뇌
- 지구
- 유머
- 잡학지식
- 일본영주권
- 재능
- 운동
- 스테로이드
- 단백질섭취량
- 이쁜사진
- 공룡
- 곤충
- 감성사진
- 잼있는동영상
- 바다생물
- 무서운이야기
- 기묘한이야기
- 외계인
- 우주
- 전쟁
- 예쁜이미지
- 공룡복원
- 근육
- 라면
- 흡연
- 웃긴동영상
- 이쁜이미지
- 동물
- 일본
- 재난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